통계로 보는 일상/재테크 5

미국 ETF로 사회초년생 종잣돈 1억 모으기 - 베타 투자

요즘 어느 모임에서든 핫한 주제인 것 같다. 필자는 2021년이 되면서 27살이 되었는데, 친구들의 관심사가 슬슬 재테크에 쏠리는 것 같다. 아무튼 본론으로 돌아와서, 종잣돈 1억 모으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1월 동안 내 포트폴리오에 큰 두가지 변화가 있었다. 1. 국내주식 전량 매도 2. 주식비중 감소 (현금 보유량 증가) 3. ETF 투자 원래 작년까지만 해도 개별종목 투자를 좋아했었는데, 아무래도 개별종목 + 한국주식장 시간 콤보로 본업에 집중이 잘 안 됐었다. 그렇게 해서 딱히 미국 시장평균(SPY)보다 월등히 높은 성과를 냈었는가(Alpha 투자) 하면 그것도 또 아니었기에, 종잣돈을 모으기 전까지 에너지와 시간을 자신에게 투자하면서, 시장 평균정도의 수익을 추구하는 Beta 투자자가 되기로 ..

사회초년생 종잣돈 1억 모으기 - 미국 ETF(ARKK, ARKG, QQQ, SPY)

필자는 본업(대학원)이 있는 사회초년생으로 투자에 공부할 시간이 현실적으로 많지 않다. 작년 1년간 평균적으로 하루에 많아봐야 1시간 공부하며 투자하였고 그 결과는 시장수익률 언저리였다. 당연스레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대형 주도주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으며, 그 안에서 비중을 끊임없이 조절해보려 노력했으나, 결국 시장 수익률 언저리를 얻고나서 약간의 현타를 가지던 중이었다. 종잣돈 1억까지 모으는 데는 투자도 중요하지만 저축이 사실상 더욱 더 중요하기 때문에 본업에 집중하는것이 필요하다 생각하여, 투자를 단순화하려고 했다. 바로 ETF 투자이다. "최고의 기업에 투자하는 최고의 투자가" 에게 돈을 쥐어주는 것이 현재의 나로서는 최선의 전략이라고 판단했다. 지난 1년간 수백개의 ETF를 봤지만 그중에..

사회초년생 종잣돈 1억 만들기 - ARK Bad Idea Reports

올해 투자를 시작한 어린 투자자로서, 선배 투자자들의 조언을 듣게 된다. 여러 투자회사의 철학과 원칙, 그리고 과거 행보를 공부하고 있고, 그중 ARK Invest의 투자 철학과 원칙을 나타내는 슬로건 "파괴적 혁신" 에 매료되어 공부한 내용을 공유한다. 어디에 투자하여야 하는지는 대단히 어렵고 근시안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는 반면 (Utility Maximization - 만족 극대화의 측면) 어디에 투자하지 말아야 할 지에 대한 통찰을 얻는지도 사고의 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Regret minimization - 후회 최소화의 측면) 전자는 이미 많은 매체들에서 다루고 있으니 나는 먼저 후자에 집중하였다. 앞서 언급한 ARK Invest의 BAD Idea Reports이다 ARK i..

사회초년생 종잣돈 1억 모으기 - qqq, spy

월급날이 될 때마다, 또는 부업으로 번 수익이 들어올 때마다 매번 현금으로 둘지, 주식에 넣어둘지 고민하게 된다. 나이가 젊은 만큼 공격적으로 투자해도 되지만 항상 고민하게 되는 문제이다. 그러던 도중 패시브 etf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중 qqq와 spy에 투자하였다. qqq와 spy에 대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누구보다 잘 설명해놓았다. youtu.be/1tMoabG9MzE QQQ, SPY 설명 - 유튜브 소수몽키님 간단히 설명하면, qqq : 나스닥 상위 100개 종목에 투자 spy : 미국 전체시장 상위 500개 종목에 투자 이 두 종목에 사실상 현금을 넣는다는 생각으로 투자를 시작했는데, 공부를 하면 할수록 매력적인 상품이라고 생각되서, 앞으로 현금을 비교적 변동성이 적은 etf에 투자하기로..

주식으로 사회초년생 종잣돈 1억 만들기

새해를 다짐하며 세운 목표중 하나가 돈에관한 것이었다. 무심결에 본 경제적자유라는 단어가 내게 크게 와닿았고, 이를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과정 중 하나로 종잣돈이 있다고 생각해서 먼저 이를 이뤄야겠다고 생각했다. 무심결에 봤던 존리대표님 영상 youtu.be/ym0lKxxRklw 왜 1억이냐 하면, 그냥 세는 단위가 달라져서 ...? 지금 글을 쓰는 시간이 2020년 12월 26일이니 , 4년 뒤인 "2024년 12월 31일까지 1억 만들기" 항상 종잣돈(시드머니)를 말하는 기준을 보통 1억으로 설정하곤 한다. 종잣돈을 만드는 방법이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학생신분에서 공부를 병행하며 종잣돈을 만드는 방법은 주식투자를 제외하면 크게 많지 않은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주식투자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6개..